서울시는 취약계층의 신선식품 구매 부담을 줄이기 위해 ‘농식품 바우처’ 지원사업을 시행합니다.
이 사업은 저소득층 가구가 보다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으로, 연말까지 최대 100만 원 상당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신청 방법과 혜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농식품 바우처 사업이란?
농식품 바우처 사업은 저소득층 가구를 대상으로 신선한 국산 농축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이를 통해 가구별 월 최대 4만 원에서 20만 원까지 바우처를 지급받을 수 있으며, 해당 금액으로 채소, 과일, 육류, 두부, 우유 등의 필수 식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.
✔ 지원 대상
2025년 기준, 서울시 15개 자치구(중구, 용산구 등)에 거주하는 생계급여 수급 가구 중에서
✅ 임산부가 있거나
✅ 만 18세 이하 아동이 있는 가구가 신청할 수 있습니다.
(기준 중위 소득 32% 이하·4인 가구 기준 월 195만1천287원 이하)
✔ 지원 금액
가구원 수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.
가구원 수월 지원 금액
1인 가구 | 4만 원 |
2인 가구 | 6만 5천 원 |
3인 가구 | 8만 5천 원 |
4인 가구 | 10만 원 |
5인 가구 이상 | 12만 원 이상(가구원 수에 따라 증가) |
📌 연말까지 최대 지원 금액: 4인 가구 기준 100만 원까지 지급 가능
신청 방법
신청은 아래 세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.

🔹 온라인 신청: 농식품 바우처 공식 누리집 접속 후 신청
🔹 전화 신청: ☎ 1551-0857로 문의 후 신청
🔹 방문 신청: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 방문 신청
📌 신청 후 자동 갱신
한 번 신청하면 12월까지 매달 자동 지급됩니다.
다만, 매월 지원 요건을 다시 검토하여 자격을 유지해야 합니다.
바우처 사용처 및 구매 가능 품목
바우처를 지급받은 가구는 지정된 매장에서 다양한 신선식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.
✔ 사용 가능한 매장
✅ 농협 하나로마트
✅ GS25 등 일부 편의점
✅ 농협몰 등 온라인 쇼핑몰
✔ 구매 가능한 품목
✅ 국산 채소 및 과일
✅ 육류 및 신선 알류(계란)
✅ 흰 우유
✅ 잡곡 및 두부류
📌 가공식품이나 외식비 등은 사용 불가
이 바우처는 신선식품 구매에 한정되며, 라면, 과자, 음료수 등 가공식품은 구매할 수 없습니다.
서울시의 기대 효과
서울시는 이 사업을 통해 저소득층의 영양 불균형을 해소하고,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
김태희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
💬 “고물가로 인해 저소득층의 식료품비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, 건강한 식생활을 지원하겠다.”
고 밝혔습니다.
신청 전 꼭 알아둘 점
✅ 신청 대상: 서울시 15개 자치구 거주, 생계급여 수급 가구 중 임산부 또는 만 18세 이하 아동 포함 가구
✅ 신청 기간: 현재 신청 가능하며, 연말까지 지속
✅ 지원 금액: 1인 가구 4만 원~4인 가구 10만 원 (최대 100만 원)
✅ 사용 매장: 농협 하나로마트, GS25, 농협몰 등
📌 자세한 내용은 농식품 바우처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!
'복지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방법 2025년 지원 혜택 정리 (0) | 2025.02.22 |
---|---|
병무청 카드형 전역증 재발급 방법 (+미국 우대) (1) | 2025.02.22 |
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2025 (0) | 2025.02.22 |
위촉계약서 발급 방법 및 유의사항 (+레뷰) (0) | 2025.02.20 |
재직증명서 발급방법 발급 시 유의사항 (1) | 2025.02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