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부터 맞벌이 가구의 근로장려금 소득상한금액이 인상되었습니다.
기존의 3,800만원에서 4,400만원으로 상향 조정되어,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
소득 상한 금액 인상
- 맞벌이 가구: 3,800만 원 → 4,400만 원
- 단독 가구 및 홑벌이 가구의 소득 상한 금액은 변동 없음
- 기존보다 600만 원 상향 조정되어 더 많은 맞벌이 가구가 근로장려금 혜택을 받을 수 있음
적용 시기
- 2025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며,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부터 새로운 소득 기준이 반영됨
지원 대상 확대
- 기존에는 연소득 3,800만 원 이하 가구만 신청 가능했으나, 4,400만 원 이하로 기준이 확대됨
- 더 많은 가구가 지원받을 수 있도록 조정됨
근로장려금 신청 대상
근로장려금은 소득 및 재산 기준을 충족하는 근로자, 사업자 또는 종교인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2025년 신청 대상 기준
가구 유형 2024년 소득 기준2025년 소득 기준 (변경)
단독 가구 | 2,200만 원 이하 | 변동 없음 |
홑벌이 가구 | 3,200만 원 이하 | 변동 없음 |
맞벌이 가구 | 3,800만 원 이하 | 4,400만 원 이하 |
- 맞벌이 가구의 기준만 변경되었으며, 단독 가구 및 홑벌이 가구의 소득 상한 금액은 기존과 동일
재산 요건
- 가구원의 총 재산이 2억 4,000만 원 미만이어야 함 (부동산, 자동차, 금융 자산 포함)
근로·사업·종교 소득이 있는 가구
- 근로소득, 사업소득 또는 종교소득이 있는 가구만 신청 가능
- 소득이 없는 경우 근로장려금 신청 불가
근로장려금 신청 방법
근로장려금 신청은 국세청 홈택스 또는 모바일 앱 손택스를 통해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.
신청 기간
- 정기 신청: 2025년 5월 1일 ~ 5월 31일
- 기한 후 신청: 2025년 6월 1일 ~ 11월 30일 (지급액 10% 감액)
신청 방법
✅ 홈택스 (PC)
✅ 손택스 (모바일 앱)
- 국세청 손택스 앱 다운로드 및 로그인
- 근로장려금 신청 메뉴 선택
- 신청서 작성 후 제출
✅ 전화 신청 (ARS 1544-9944)
- 국세청 ARS 1544-9944로 전화
- 안내에 따라 주민등록번호 및 신청 정보를 입력
✅ 세무서 방문 신청
- 가까운 세무서를 방문하여 신청서 작성 및 제출
📌 자동 신청 대상자
- 국세청에서 문자 또는 우편으로 "신청 안내"를 받은 경우, 별도 서류 없이 홈택스에서 간편 신청 가능
근로장려금 지급 일정
✅ 정기 신청 지급일
- 2025년 9월 말까지 지급 예정
✅ 기한 후 신청 지급일
- 신청 후 3개월 이내 지급
- 기한 후 신청 시 지급액의 90%만 지급됨 (10% 감액)
✅ 반기 신청자 지급일
- 상반기 소득(1~6월) 지급: 2025년 9월
- 하반기 소득(7~12월) 지급: 2026년 3월
근로장려금 신청 시 유의사항
📌 1. 소득 변동 주의
- 2024년 소득을 기준으로 2025년 근로장려금이 지급됨
- 소득이 증가하여 소득 상한 금액을 초과하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
📌 2. 세금 체납자도 신청 가능
- 세금 체납이 있어도 근로장려금 신청 가능
- 다만, 지급받은 근로장려금에서 체납액이 일부 공제될 수 있음
📌 3. 가구 유형 정확히 확인
- 단독 가구, 홑벌이 가구, 맞벌이 가구에 따라 지급 금액이 다름
- 가구 유형이 잘못 신고되면 지급 금액이 줄어들거나 지급이 거부될 수 있음
📌 4. 반기 신청자의 경우 연말 정산 필수
- 반기 신청자는 상반기·하반기 지급을 받지만, 연말 정산을 통해 최종 지급액이 조정됨
결론
2025년부터 맞벌이 가구의 근로장려금 소득 상한 금액이 4,400만 원으로 인상되면서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
이는 저소득 맞벌이 가구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생활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
📌 근로장려금 신청 대상 여부를 확인하고, 2025년 5월에 빠짐없이 신청하여 혜택을 받으세요!
반응형
'복지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총정리 (1) | 2025.02.03 |
---|---|
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대상 확대 및 이용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2.03 |
근로계약서 미작성 시 문제점과 법적 처벌 (1) | 2025.02.02 |
표준 근로계약서 양식 및 작성 방법 (0) | 2025.02.02 |
어린이집 오픈데이란? 입소 전 사전접수 하기! (2) | 2025.02.02 |